목록지원 (2)
안 쓰던 블로그

지원할 학교가 결정이 되어야 내가 필요한 최소 GRE, TOEFL 점수를 알 수 있다. 요즘에는 GRE가 선택 사항으로 많이 바뀌는 추세라서 GRE가 필요하지 않는 학교에만 지원할 예정이라면 GRE 공부 기간을 생략할 수 있다. 유학원을 낀다면 내 상황에 맞는 학교를 추천해 준다고 하는데, 혼자서 준비하는 나의 지원 과정을 정리해 본다. 나는 구글에 미국 대학원 CS 분야 대학원 링킹 등을 찾아서 보이는 학교 이름을 약 100개 나열했다. 나의 분야 논문이나 전공 책에 저자나 역자 등으로 자주 등장한 학교들도 참고했다. 그리고 각 학교마다 공식 홈페이지를 찾아서 각 정보를 정리했다. 기본적인 정보 마감일자, 지원료, 토플/GRE 점수 최저점, GRE가 선택사항인지아닌지, 석사에게도 펀딩 자리가 있는지 내..

대학원 합격은 결국 case by case이므로, 자기가 가진 스펙, 여건과 상황을 파악해서 나에게 맞는 입학 전략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최상위권 대학이면 모든 조건이 완벽해야 하겠지만, 분야별 10위권이나 20~50위권 대학을 목표로 한다면 자기가 가진 강점을 얼마나 설득력 있게 어필해서 약점을 커버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나의 경우, 엑셀에 이제껏 했던 모든 활동, 논문, 프로젝트, 수상, 자격증 등을 날짜와 함께 정리했다. 이렇게 정리한 이유는 내가 했는데 기억이 안 나는 것도 여러 개이며, 너무 오래된 활동의 경우 증빙자료를 찾을 수 없는 것들도 있기 때문에 무슨 실적을 나의 스펙으로 넣을지를 결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을 정리한 뒤,CV, SOP에 넣을 것들을 추렸다. 유학을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