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네트워크 (10)
안 쓰던 블로그
프로토콜 서로 다른 시스템에 있는 개체 간 통신을 잘 하기 위한 통신 규약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려는 두 시스템 간에 무엇을 언제, 어떻게 통신할 것인지 미리 정한 약속 계층적 구조로 정의된다. 시스템 간 복잡한 통신 관련 상호작용을 세분화, 계층화, 표준화한 것 *개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전자우편 시스템/사용자 프로그램 *시스템: 하나 이상의 개체를 보유한 컴퓨터 TCP 프로토콜 OSI 7계층 중 4계층인 전송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컴퓨터의 프로그램 간 데이터를 순서대로 에러 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해 준다 인터넷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제공하는 프로토콜은 IP인데, IP 프로토콜 위에서 실행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에는 TCP와 UDP로 나뉜다 응용 프로그램이 해당 응용 환경에..

목차 1. ARP 2. ARP Spoofing 3. ARP Spoofing 실습 3-1. 실습 환경 3-2. 실습 준비 3-3. 실습 진행 3-4. 실습 결과 4. ARP Spoofing 방어 방법 5. ARP Spoofing 공격의 한계 1. ARP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 네트워크 상에서 IP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MAC)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다시 말해, TCP/IP 3계층(네트워크 계층)의 IP주소를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의 MAC주소로 대응시킨다 참고로 MAC주소는 아는데 IP를 모르는 경우에는 RARP를 쓴다 ARP 동작 1. 브로드캐스트로 MAC주소를 요청한다 2. 해당하는 IP를 가진 ..

0. 네트워크 구성 호스트OS: 하드웨어에 직접 깔려있는 OS 게스트OS: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통해 설치된 가상 OS 실습 환경 호스트OS: 윈도우즈 게스트OS 1: 우분투 18.04 LTS 게스트OS 2: 칼리 리눅스 1. NAT 게스트 OS가 호스트 OS의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이용해 외부와 통신한다 실습 방법 1. 가상머신 설정에서 네트워크를 NAT으로 연결 2. 호스트 OS와 게스트 OS 사이에서 와이어샤크 캡쳐 3. 우분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