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알고리즘/정보올림피아드 준비 (17)
안 쓰던 블로그
정올반 2일차- 수업 2016 시도예선 중고등부 문제 1. 등식을 정리해도 되지만 i라고 두고 풀었다. (-i) + (-1) + i + 1 = 0으로 4. 10000이니까 5개의 자릿수가 있고 각 자릿수마다 10000 개씩해서 50000개 6. 있을지 없을지 콤비네이션으로 계산할 수도 있고 사람 한 명 당 2승씩 해서 6명-1하니까 2^5, 32이라는데 왜 한 명을 빼는지 이해를 못함. 7. 비용이 적은 것들만 연결하면 된다는데 아무리 계산해도 37이 나오질 않는다. 왜.. 9. 어찌됐든 이것도 사각형이다. 교차점 16개 10. ↖이쪽으로 올라가는 대각선은 손해. ↗이 모양 대각선 각각의 경우의 수를 구하고 짧은 거+ 목적지 B까지 가는 경우의 수가 답 13. 모두가 다른 대답을 했기 때문에 악수를 0번..
정올반 2일차- 수업 2015 시도예선 중고등부 문제 1. 소인수분해 했을 때 8의 개수가 몇 개인지 세면된다. 10!을 소인수분해하면 2^8이 나오는데 2^8 안에는 2^3(8)이 2개 들어가니까 0은 2개 2. 간선이 몇 개던 간선의 합은 짝수여야 함 3. ‘1 이상’이기 때문에 각 정수에 +1씩 하고 시작한다. 그래서 실제로 계산하는 것은 10-4=6개. 6개를 3개의 막대기로 나눈다고 하면 9C3이므로 9*8*7/3*2*1 = 84, 84개. 만약 숫자 a, b, c에 a>=3, b>=2, c>=1같은 범위가 있다면 (a-3)+(b-2)+(c-1)=9가 된다. 4. n, n+1, n+2, n+3, n+4 연속된 5개를 찾음 5. 대입해본다. A가 1일 경우 = 3*7=21(x), 9*9=81(x)..
정올반 보고서 1일차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주행 시뮬레이션] 유전 알고리즘과 코코스2D를 이용한 자동주행 시뮬레이션이다.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은 자연세계의 진화과정에 기초한 계산 모델로서 존 홀랜드(John Holland)에 의해서 1975년에 개발된 전역 최적화 기법으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의 하나이다. 생물의 진화를 모방한 진화 연산의 대표적인 기법으로, 실제 진화의 과정에서 많은 부분을 차용하였으며, 변이(돌연변이), 교배 연산 등이 존재한다. 또한 세대, 인구 등의 용어도 문제 풀이 과정에서 사용된다.” -위키피디아 유전 알고리즘은 부모의 유전 정보 중에 우월한 유전자를 교배시켜 더 우수한 다음 세대를 만들어 학습하는 알고리즘이다. 이 자동주행 시뮬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