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쓰던 블로그

클라우드 서비스 및 운영 모델 본문

Network

클라우드 서비스 및 운영 모델

proqk 2021. 7. 16. 10:26
반응형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Cloud Service Model

1.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기업과 스타트업의 서비스 구축을 위한 네트워크 장비, 저장장치(스토리지), 서버를 빌려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한다 = 컴퓨터 대여

필요한 즉시 인프라를 임대받을 수 있어 즉시 개발을 진행한 후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유입량에 맞춰 인프라를 유동적으로 확장하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인프라 관리 인력을 최소화한 후 이들을 모두 서비스 개발에 투입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EC2), Amazon S3 

사용자의 고민: 인프라 관리 비용 및 복잡도, 과대/과소 컴퓨팅 자원

해결책: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과금을 기반으로 탄력성 제공

 

2. Platform as a Service(PaaS)

응용을 개발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 응용의 실행 환경 및 개발지원 API 제공 = 플랫폼 대여

네트워크 장비, 저장장치, 서버, 가상머신 같은 인프라에 운영체제, 미들웨어, 런타임 등 서비스 개발 및 유지 도구까지 추가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다.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도구를 활용해 서비스 개발 관리만 전념할 수 있어 인력이 부족한 스타트업이나 IT 인력이 취약한 기업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예) AWS의 Elastic Beanstalk, Heroku, Google App Engine

사용자의 고민: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자원 구매(라이선스), 개발 애플리케이션이 운영될 다양한 운영체제

해결책: 서버/운영체제/시스템소프트웨어(플랫폼) 제공, 운영체제도 구매 대상이다. 이를 서비스로 제공한다.

 

3. Software as a Service(SaaS)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 및 응용프로그램 제공. 웹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임 = 서비스/응용 제공

인프라, 개발도구에 이어 앱과 데이터까지 모두 것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것. 클라우드 사업자가 SaaS를 직접 제공하는 경우는 드물고, 기업과 스타트업이 IaaS 또는 PaaS를 임대하고 여기에 서비스를 구축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SaaS가 된다.

) 거의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 및 게임. 구글 검색, 지메일, 유튜브 등

사용자의 고민: 응용 프로그램의 관리(업그레이드 및 패치), 실행환경과 mismatch, 데이터의 저장 및 복구

해결책: 클라우드에서 자동으로 관리 해 줌. SLA를 두거나 프리미엄 서비스를 둔다(제공자가 알아서 전부 맞춰 줌=사용자가 적절한 성능을 보장받아야 하는 권리를 만족시키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 받음). Google File System, Redundancy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운용모델

1. Public Cloud : 클라우드 사업자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터넷 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기업과 개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 한마디로 구글, AWS, 애저 등에 구독하여 사용하는 방식.

설비투자비용이 적고 중소기업에 적합하다. Vendor lock-in(특정 소프트웨어나 기업에 종속되는 것)이 적고 유지보수가 쉽다. 대신 중요한 정보가 원격에 있다는 보안적 이슈가 있다.

문제: 데이터 문제의 소유권

• 필수적이고 중요한 데이터/정보도 클라우드에 원격으로 존재한다.

• 중요 데이터 누출 발생 시 사고 처리가 까다롭다

-VPC: Public Could에 컴플라이언스와 보안을 고려할 수 있다

 

2. Private Cloud : 클라우드 관련 기술이 활용된 자사 전용 환경을 구축하여 컴퓨팅 리소스를 유연하게 사용하는 형태. 한마디로 로컬에다가 클라우드 컴퓨팅을 설치한 것 (리소스, 스토리지, 하이퍼바이저, VMM 등등..)

사내(내부)에서 운영, 밖으로 나가지 않기 때문에 대역폭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설비투자비용이 높고 대기업에 적합하다. Vendor lock-in이 높고 유지보수가 어렵다. 대신 중요한 정보를 로컬에 둘 수 있어서 보안에 좋다.

문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관리 이슈

•운영, 관리 비용

•전문가가 필요함

 

3. Hybrid Cloud : PublicPrivate을 같이 사용해서 단점을 보완하는 방식. 중요한 문서는 Private에 넣고 덜 중요한 서비스나 문서는 Public을 이용하는 식이다.

4. Multi Cloud: 여러 개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 AWS와 구글, 애저를 동시에 사용하는 식

 

  Public Private
CAPEX 설비투자비용 적음 많음, 전문가 필요
기업의 규모 측면 중소기업 대기업
Vendor lock-in 관점(특정 소프트웨어나 기업에 종속되는 것) 적다 크다 (구매를 하게 되면 구매한 장비 제공자, 서비스에 종속됨)
유지보수 및 자원관리 관점 쉽다 어렵다

 

결론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자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과 클라우드 이용 모델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한다.

반응형
Comments